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일자리 제공이 최고의 노인 복지-부산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1-17 조회수 4779
일자리 제공이 최고의 노인 복지

정부가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고령자고용촉진법에 규정된 정년을 연장하겠다고 밝힌 것은 적절한 조치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이 76.5세로,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이 7%를 넘어선 고령화사회에 이미 들어섰으며,14% 이상인 고령사회에 2019년,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2026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청장년층은 줄어드는 반면,일하지 않는 고령인구가 크게 늘어나 자녀의 부양이나 사회보장에만 의지한다면 가정은 말할 것도 없고 국가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사회는 활력을 잃게 되고 성장의 동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고령화사회에서는 병든 노인을 돌보거나 생계비를 보조하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활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 적극적 복지정책이다. 미국은 1986년 정년제도를 아예 없앴으며 일본도 60세이던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정년을 65세 정도로 늘리면서 기업의 고령자 의무고용률을 현행 3%에서 6%까지 높이겠다는 재경부의 방안은 구상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현되어야 한다.

청년실업도 심각한데 노인 일자리가 있겠느냐는 지적도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갈수록 낮아지는 출산율을 감안하면 고령자가 일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노년층의 고용확대가 젊은층의 고용증대와 연계되므로 한국도 고령자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권고하지 않았던가.

법적 정년 연장은 선언적 의미에 불과하므로 기업에 강제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다. 따라서 고령자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면밀한 대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기업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임금피크제 등 다양한 고용모델을 개발하고 보조금 지급 등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 노인의 경륜을 활용할 수 있고,고령자에게 적합한 직종 개발도 필수적이다. 실천 가능한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노인들을 실망시키지 않게 된다.

<부산일보>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기초수급 부양자 1촌이내로 축소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51 부산 치매환자 1만7,000명 추정 요양시설 태부족   관리자 03.09.17 5,885
150 2003 부산의 그늘 '자활사업 문제점'   관리자 03.09.17 5,523
149 2003년도 전문사회복지사 자격시험 시행계획공고   관리자 03.09.16 6,293
148 '출산·아동수당 지급' 법안 추진   관리자 03.09.15 5,758
147 ″선진국 기준,한국 빈곤층은 30%″   관리자 03.09.15 5,782
146 전국 초.중.고 72%, 학칙으로 &quot;체벌&quot; 인정   관리자 03.09.15 6,042
145 버려진 아이들에게 &quot;家情&quot;을 만들어줍니다   관리자 03.09.07 5,967
144 실업·질병으로 &quot;빈곤 악순환&quot;   관리자 03.09.07 6,395
143 &quot;일하려는 빈곤층&quot; 정부가 취업 시켜야   관리자 03.09.07 5,775
142 脫학교 청소년&quot; 정책 겉돈다   관리자 03.09.06 6,208
<<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