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노인가구 32% 소득.재산 전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9-14 조회수 4917
노인가구 32% 소득.재산 전무
(연합뉴스 발행일 2007-09-14)


독신노인 및 노인부부 가운데 32%가 소득과 재산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기초노령연금 지급 대상 선정을 위해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확보한 노인 516만8천298명과 그 배우자 전수의 소득 및 재산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산이나 소득이 전혀 없는 독신노인 또는 노인부부가 32.1%에 달했다고 13일 밝혔다.

노인과 그 배우자 전수의 소득.재산에 대해 분석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 독신노인과 노인부부를 합한 "노인가구" 가운데 32.1%는 소득이나 재산이 전무했으며 소득이 없으나 재산이 있는 경우가 34.8%로 전체의 66.9%가 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재산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노인가구는 28.4%에 그쳤다.

노인 개인별로는 국세청 자료상 소득이 있는 비율이 6.8%에 불과하며 이 비율은 남자에서 11.4%로 여자(3.7%)의 세 배 수준이었다.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 등 공공 연금을 받고 있는 노인은 22.7%에 불과했다.

재산의 경우 노인의 41.0%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며 토지보유율은 32.1%로 노인의 51.3%가 주택 및 토지형태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보유자의 주택 시가표준액은 평균 9천702만원이며 토지보유자의 토지 시가표준액은 평균 1억4천944만원 수준이었다.

소득과 마찬가지로 재산에 대해서도 남녀 보유율의 차이가 컸다. 남자노인의 73.2%가 주택이나 토지를 소유한데 비해 여자노인은 36.4% 정도만 주택 또는 토지형태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자동차를 보유한 노인은 12.3%로 나타났다.

한편 여자노인의 비율이 59.5%로 남자보다 많았으며 70세 이상이 59%를 차지했다.

또 노인가구중 62.5%가 배우자가 없는 독신노인이었으며 이 중 여자가 49.5%, 남자가 13.9%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노인이 각각 17.5%와 17.8%로 전체의 3분의 1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tree@yna.co.kr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고령화에 노인의료비 급증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021 <2008 예산>①복지.교육.국방   관리자 07.09.30 5,675
1020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0287호)   관리자 07.09.28 5,720
1019 내년부터 기초생활보장 수급금 압류 못한다   관리자 07.09.24 5,352
1018 日, 65세 이상 노인 2천744만명..전체 21.5%   관리자 07.09.24 5,633
1017 지역별 기초노령연금 수급률 격차 심해   관리자 07.09.24 5,163
1016 내년부터 100명 이상 국ㆍ공립 보육시설 공기질 관리   관리자 07.09.14 5,018
1015 내년부터 노인 60% 월 2만-8만4천원 연금   관리자 07.09.14 5,322
1014 노인가구 32% 소득.재산 전무   관리자 07.09.14 4,917
1013 고령화에 노인의료비 급증   관리자 07.09.05 5,449
1012 美 아동.청소년 조울증 진단 급증   관리자 07.09.05 5,278
<<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