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새터민 청소년` 지원 협의체 출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0-09 조회수 7175
`새터민 청소년` 지원 협의체 출범
(연합뉴스 발행일 2007-10-09)


인천지역 새터민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새터민청소년 종합지원 협의체"가 구성돼 9일 출범했다.

(재)무지개청소년센터(이하 "무지개센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4층 세미나실에서 지역내 25개 청소년.복지기관과 교육기관,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가, 협의체를 구성하는 협약식을 체결했다.

전국에서 새터민청소년을 위한 협의체의 구성은 서울을 제외하면 인천이 처음이다.

무지개센터는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지난해 4월 새터민.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비영리 단체다.

협의체 참여 기관과 단체는 무지개센터를 비롯해 경인종합고용지원센터, 경인제과제빵학원, 대한적십자사 인천지사, 인천 YMCA, 인천YWCA 삼산종합사회복지관, 인천시 평생학습관, 인천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동부교육청, 인천시, 남동구, 만성.논현중학교, 봉수.장도초등학교 등 25개 학교.기관.단체 등이다.

협의체는 새터민청소년의 욕구와 실태조사, 방문상담, 새터민청소년 부모교육, 이들에 대한 편견 해소를 위한 순회 교육.캠페인 등을 하며 이들 개개인의 처지와 희망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찾아 하게 된다.

무지개센터는 이를 위해 성산효대학원대학교에 개설돼 있는 "인천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 전문 상담원 1명을 파견, 배치하는 한편 인천 청소년상담센터도 새터민 청소년 상담원을 지정, 상담할 예정이다.

무지개센터가 인천에 새터민청소년 지원협의체를 둔 것은 이 지역에 925명의 새터민이 살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6∼24세 청소년이 142명으로 전국에서 서울과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데다 인원이 최근 6개월사이에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무지개센터 윤상석 사업1팀장은 "새터민 청소년들이 학교수업이 끝나면 어디를 가야할 지 모르고 각 기관과 학교는 이들이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협의체 참여 기관과 단체가 상담을 통해 새터민 청소년 각자에게 맞는 지원책을 유기적으로 마련, 추진하게 된다"고 말했다.

changsun@yna.co.kr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인천시, 노인복지시설 주변 "실버존" 지정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941 해외입양은 아동복지인가, 아동학대인가?   관리자 07.05.17 5,140
940 고령 출산 "불안한 母情"   관리자 07.05.17 5,141
939 사회복지… "꿈의 노인시설·장애인기업-복지천국을 가다   관리자 07.05.14 5,263
938 빈곤층 `영유아 교육" 국가가 맡는다   관리자 07.05.14 5,336
937 초중고 학생, 매년 5월 셋째주 `직업체험`   관리자 07.05.14 5,202
936 2016년까지 "에너지 빈곤층" 없앤다   관리자 07.05.12 5,026
935 정부 국내입양 활성화 총력전   관리자 07.05.12 5,663
934 한부모 가족 사회적 편견에 두번 운다   관리자 07.05.11 5,859
933 교육비에 허리 휜다-소비지출 중 비중 사상 최고   관리자 07.05.11 5,108
932 작년 치매노인 3554명 가출   관리자 07.05.08 5,282
<<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