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보건복지, 올 하반기 달라지는 것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6-27 조회수 4933
보건복지, 올 하반기 달라지는 것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올 하반기부터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도 병의원이나 약국을 이용할 때는 500~2천500원을 내야하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만 지급되던 장례비가 차상위계층에도 지급된다.

또 한가지 질병으로 여러 병원ㆍ약국을 돌며 치료하는 의료쇼핑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선택병의원제가 시행되고 장기기증자에게는 유급휴가비가 지급된다.

다음은 올 하반기 보건복지 분야에서 달라지는 제도들을 정리한 것이다.


◇ 본인부담제 및 선택 병의원제 시행 = 그동안 본인 부담 없이 병의원 진료를 받아온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도 7월부터는 병의원 진료시 진료비 일부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부담액수는 외래 진료시 의원은 1천원, 병원ㆍ종합병원 1천500원, 대학병원 2천원, 약국 500원이며 MRI와 CT, PET 등은 급여비용의 5%를 부담해야 한다.

단, 입원 치료를 받을 때는 종전과 같이 본인 부담은 없으며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에게는 의료비 지원을 위해 매월 건강생활유지비 6천원이 지급된다.

건강생활유지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하는 수급권자별 가상계좌에 적립되며 잔액이 남는 경우 연 1회 정산해 수급권자 계좌에 입금된다.

소위 "의료쇼핑"에 의한 중복투약 등 건강상 문제 가능성이 높은 의료급여 수급권자에게는 선택 병의원제가 시행된다. 대상자는 의원급 의료기관 1곳을 선택해 이용해야 하며 선택한 병의원, 약국을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은 없다.


◇ 차상위계층 장제 급여 지급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만 지급되던 장제급여(장례비)가 차상위계층에도 지급된다.

7월부터는 차상위 의료급여 수급자가 사망할 경우 장제비 25만원이 지급되며 특히 차상위 의료급여사업이 시작된 2004년 이후 차상위 의료급여 수급자로 보호받던 사람이 사망해 장례를 치른 경우에도 소급해 장제비가 지급된다.

보건복지부는 2004년 이후 차상위 의료급여 수급자 모두에게 장제비 지급 확대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며 장제비를 지급받고자 하는 사람은 읍ㆍ면ㆍ동 사무소에서 급여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 실업자 및 휴직자 건강보험 지원 = 동일 사업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사람이 실업한 경우 공단에 신청하면 6개월 동안 직장가입자의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업 후에 최초로 고지 받는 지역보험료의 납부기한 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해야 하고 보험료는 실업 전 3개월 동안의 평균보수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또 휴직으로 보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급받지 않는 직장가입자의 경우 지금까지는 휴직 전월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됐으나 7월부터는 휴직기간 보험료가 일부 경감된다.


◇ 운전면허 장기 등 기증희망자 표시 및 장기 등 기증자에 유급휴가비 지급 = 9월 28일부터 국립장기이식센터에 등록된 장기 등 기증희망자 가운데 운전면허 신규 및 재발급자는 운전면허증에 장기 등 기증희망자 표시를 할 수 있다.

또 직장 근로자나 공무원 등이 장기나 골수를 순수 기증할 경우 사용자에게 유급휴가비가 지급된다.

유급휴가비는 장기이식의료기관(장기)과 모집기관(골수)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급되며 지급액수는 장기기증자는 하루 5만원씩 14일치, 골수기증자는 하루 5만원씩 5일치이다.


◇ 고령친화산업 육성 = 6월 29일부터 고령친화산업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이 시행된다.

고령친화산업은 신체기능과 경제적 능력이 저하된 노인의 건강과 편익, 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은 고령친화산업을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해 풍요한 노후생활을 유도기 위한 것으로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가 지정돼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개발, 기술지도, 사업화ㆍ창업, 마케팅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scitech@yna.co.kr / 2007/06/25 11:40 송고

출처 : 연합뉴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부산시 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지원 관한 조례안 입법예고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971 정신지체인, 지적장애인으로 불러주세요   관리자 07.07.05 5,066
970 국민연금 내년 수령자 59만원, 내년 가입자 40만원   관리자 07.07.02 5,108
969 정년 연장하면 내년부터 장려금 지급   관리자 07.07.02 5,089
968 'F학점 복지' 공무원 1인당 3396명 관리   관리자 07.06.27 5,029
967 보건복지, 올 하반기 달라지는 것들   관리자 07.06.27 4,933
966 부산시 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지원 관한 조례안 입법예고   관리자 07.06.25 5,169
965 한국 공공사회복지 지출 OECD 국가 중 최하위   관리자 07.06.24 5,018
964 부산시 "복지계획 시민의견 받습니다"   관리자 07.06.24 4,918
963 고양 복지단체, 봉사활동 확인서 매매 "물의"   관리자 07.06.24 5,254
962 일하는 엄마 "육아문제가 가장 큰 부담"   관리자 07.06.24 5,352
<<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