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저출산 4.7조원·고령사회 대비 6조원, 총10.7조원 지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1-26 조회수 6253
금년도 저출산 4.7조원·고령사회 대비 6조원, 총10.7조원 지원키로


정부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신생아 출산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고 효과적으로 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24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개최, 2008년도에 추진할 부처별·지자체별 세부 시행과제를 확정했다.



올해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중앙부처 사업 8조 9천억원 및 지자체 자체사업 1조 8천억원을 포함, 총 10조 7천억원 투입된다.

19개 중앙부처에서 금년도에 시행하는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사업규모는 총 8.9조원으로 저출산 대책에 2007년 3.1조원보다 8천억원(27.5%) 증가한 3.9조원을 투자하여 85개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고령화 대책에 전년도 1.6조원보다 2조원(127.5%) 늘어난 3.7조원을 투자하여 72개 과제를 추진한다.

고령사회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전년도 1.3조원보다 1천억원(6.9%) 늘어난 1.4조원을 투자하여 63개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금년에는 기초노령연금·노인장기요양보험 등 노인복지관련 신규 제도의 시행으로 고령화 대책 관련 예산이 크게 증가하였다.

올해 시행되는 주요 저출산 대책사업을 살펴보면 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영유아 보육·교육비의 지원 확대, 임신에서 출산, 영유아의 건강을 위한 생애 초기 투자를 대폭 강화한 한편, 건전한 미래세대 육성을 위한 아동·청소년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출산 친화 기업문화 조성 등이 있다.

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는 노인의 소득보장을 위해 전체 노인의 60%인 301만명에게 1인당 매달 약 8만4천원의 기초노령연금을 본격 지급하고('08.1),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08.7)할 예정이다.

또 공무원·군인·사립학교교직원 연금 등 특수직역연금 제도 개혁 및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간의 가입기간 연계 지속추진, 노인의 활기찬 사회참여를 위한 노후생활기반 조성 등이 있다.

고령사회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는 여성·고령자 등 잠재인력 활용기반 구축을 위해 여성에 대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A)를 500인 이상 민간기업으로 확대('08.3)하고, 정년제도 개선을 위한 '정년연장장려금'제도 시행('08.1) 및 고령자고용촉진법 개정을 통한 점진적 연령차별 금지 법제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고령친화산업 육성을 위하여 고령친화제품 종합체험관을 확대(2개소→3개소)하고, 실버의료기기 등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16개 시·도가 시행하는 사업규모는 총 8.7조원(국비보조 포함)으로 저출산 대책 1,074개 과제에 전년도 3.3조원보다 7천억원(21.6%) 증가한 4조원을 지원하고, 고령화 대책 566개 과제에 전년도 2.4조원보다 2조원(83.5%) 증가한 4.3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노인고용촉진장려금 지원, 노인일자리 창출지원센터, 실버인력뱅크, 여성취업지원 등의 사업 실시 등 182개 과제에 전년도 3.3천억원보다 129억원(3.9%) 증가한 3.4천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위원회에서 2006년도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의 추진 성과에 대한 시범평가 결과를 심의한 결과, 2006년도 정책 추진 성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중앙부처에 대한 정책분야별 평가 결과, 전체평균점수는 240점 만점에 199.6점(100점 만점 기준 83.2점)으로 양호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야별 평균점수(5점 만점 기준)는 저출산 4.35, 고령화 4.02, 성장동력 4.10점으로 출산율 반전 등에 힘입어 저출산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가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평가 결과, 16개 시·도 중 부산, 전남, 서울, 충북, 전북 5개 시·도가 상위 30% 우수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는 정부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 플랜 2010)을 수립('06.8)하면서 범정부적 저출산·고령화 대응에 나선 초년도의 정책 성과에 대한 시범평가로서, 각 부처와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개별사업이 저출산·고령화 극복이라는 최종목표에 부합하도록 정책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결과지표 중심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평가 결과는 향후 차년도 시행계획 등 정책 수립에 반영하고, 금년 상반기 중 실시할 '07년도 추진실적 평가에도 참고할 예정이다.


문의 기획총괄팀 02)2110-6436
정리 정책홍보팀 박주현(pj8054@empal.com) 
download : 첨부파일다운저출산.jpg
이전글 :   부산시 "복지관 실적에 따라 차등지원"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101 교육부, 초.중.고교 정신건강 실태조사 확대   관리자 08.02.11 7,235
1100 청소년등장음란물 단순 소지해도 처벌   관리자 08.02.11 6,492
1099 교육내용·학비 천차만별… 내 꿈을 키워줄 학교는?   관리자 08.02.11 7,665
1098 기초노령연금, 1월 31일 190만명에게 첫 지급   관리자 08.02.03 6,114
1097 부산시, 2011~2020 복지계획 수립   관리자 08.02.03 6,997
1096 요양보호사 국가자격제도 신설   관리자 08.02.01 6,452
1095 일선 사회복지직 공무원 위협에 시달린다   관리자 08.01.26 6,441
1094 저출산 4.7조원·고령사회 대비 6조원, 총10.7조원 지원   관리자 08.01.26 6,253
1093 부산시 "복지관 실적에 따라 차등지원"   관리자 08.01.26 6,113
1092 대구시 올해 복지사업에 1조154억원 투입   관리자 08.01.26 6,921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