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WHO "노인 위해 자동응답 서비스 보완하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0-08 조회수 7210
WHO "노인 위해 자동응답 서비스 보완하라"
`노인 친화적 도시" 조성 위한 10개항 지침 발표


(제네바=연합뉴스) 이 유 특파원 = "노인들과 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 화장실과 벤치들을 적절한 위치에 충분히 갖춰 놓고, 깨끗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표지판도 잘 만들 필요가 있다."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 노인의 날을 맞아 1일 제네바와 런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글로벌 노인 친화적 도시들"을 조성하기 위한 10개항의 안내 지침을 동시에 발표했다.

WHO는 22개국의 33개 도시들과 협의를 거쳐 이 안내 지침을 만들었다. 협의 대상에는 이스탄불, 런던, 멜버른, 멕시코시티, 모스크바, 나이로비, 뉴델리, 뉴욕, 리우데쟈네이루, 상하이, 도쿄 등이 포함됐다.

여기에는 또 잘 관리되고 환한 보도, 장애인들이 접근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공공 건물, 노인이 자리에 앉을 때까지 출발하지 않고 기다리는 버스 운전기사 및 노인에게 좌석 양보 등이 담겨져 있다.

장애인용 주차공간의 충분한 확보, 노령화에 따른 필요를 감안한 지역사회의 주택 건설, 자동응답기 대신에 친절한 맞춤형 서비스 및 정보 제공, 평이한 문장으로 된 서면 정보 제공 등의 권고들도 있다.

그리고 도시 외곽의 복합 상업단지 대신에 노인들이 거주하는 이웃에 공공 또는 상업 서비스 및 상점의 배치, 노인들을 존중하고 노인들을 참여시키는 시민 문화 배양 등도 이 안내 지침에 들어 있다.

WHO는 "세계인구에서 노인의 점유율은 2006년의 11%에서 2050년에 22%로 2배가 될 것"이라며 "이와 동시에 세계는 급속하게 도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WHO에 따르면, 현재 개도국의 노인 수는 선진국 노인 수의 약 2배에 달하고 있으나, 2050년께에는 노인 인구의 80% 가량이 개도국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알렉스 칼라슈 WHO 노령화 및 생활 담당 국장은 "오늘날 선진국 노인의 75% 가량이 도시 거주자이나 2015년에는 80%로 증가할 것"이라며 "더욱 두드러지는 것은 도시에서 거주하는 개도국 노인의 수가 2000년의 5천600만명에서 2050년에는 9억8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lye@yna.co.kr / 2007/10/02 21:57 송고

출처 : 연합뉴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출산ㆍ육아로 퇴직한 여성 임시직으로 복귀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951 질병-사고없이 사는 '건강수명' 68.6세   관리자 07.06.06 5,371
950 (부산복지개발원)사회복지 우수프로그램 공모   관리자 07.06.06 5,430
949 노인돌보미 서비스 지원대상 대폭 확대   관리자 07.05.31 5,360
948 "노인복지사 공인자격 아니다"   관리자 07.05.31 5,265
947 복지시설, 투척용소화기비치 의무화 반발   관리자 07.05.31 5,609
946 기업들 퇴직연금 가입 증가세   관리자 07.05.22 5,787
945 부산시 복지관 지원금 차등지급 논란   관리자 07.05.22 4,829
944 <연합시론> 평균 수명 연장, 좋아만 할 일인가   관리자 07.05.22 6,230
943 노인 의료 서비스업 초고속 성장   관리자 07.05.22 5,480
942 일하는 노인 늘자, 의료비 295억원 줄어   관리자 07.05.17 5,685
<<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