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소득수준 낮을수록 주요질병 발병률 높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8-31 조회수 4326
소득수준 낮을수록 주요질병 발병률 높아

(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암과 당뇨병, 뇌혈관질환 등 주요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부산의대 예방의학과 황인경 교수 등 부산지역 4개 의과대학 공동연구팀이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부산에 거주하는 7천944가구, 2만3천198명을 경제적으로 상위, 중상위, 중하위, 하위 계층으로 나눠 면접조사를 벌인 결과, 하위계층의 중풍 및 뇌혈관질환 발병률이 12.31%로 가장 높았다.

또 중하위계층과 중상위계층이 각각 4.45%와 3.79%로 그 뒤를 이었고 상위계층은 2.19%로 집계됐다.

당뇨병 발병률은 하위계층이 38.58%로 가장 높았고, 중하위계층(20.13%), 중상위계층(16.70%), 상위계층(15.74%)순이었으며 관절염 발병률도 하위계층 51.42%, 중하위계층 17.47%, 중상위계층 13.23%, 상위계층 12.39%순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발병률의 경우 상위계층은 1.13%를 기록했고, 중상위계층과 중하위계층이 각각 1.37%와 1.78%로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렸으나 하위계층은 무려 6.80%나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하위계층은 6대암 가운데 폐암과 대장암을 제외한 모든 암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공동연구팀은 밝혔다.

여성의 흡연율도 소득수준을 그대로 반영해 상위계층의 경우 1.78%로 나타났으나 중상위계층과 중하위계층은 각각 4.45%와 5.52%로 높아졌고 하위계층은 9.15%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2년간 건강검진을 받은 비율도 상위계층이 63.7%로 가장 높았고, 중상위계층(55.2%), 중하위계층(46.3%), 하위계층(43.0%)순이었다.

이에 따라 주관적인 계층별 건강점수는 상위계층이 100점 만점에 73.44점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중상위계층(73.19점), 중하위계층(72.27점), 하위계층(64.20점)순으로 나타났다.

youngkyu@yna.co.kr / 2005/08/29 16:53 송고
출처 : 연합뉴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자원봉사, 교육부터 받고 시작합시다(현대불교)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41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관리자 20.05.06 28,357
1440 현물후원시 후원가액 산정을 위한 검토   관리자 20.04.03 29,838
1439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관리자 19.05.23 26,370
1438 연말정산은 언제까지 지급해야하는 것일까?   관리자 19.04.10 41,440
1437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후원금 관리   관리자 19.01.28 28,860
1436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관리자 19.01.17 27,916
1435 건강진단(건강검진) 후 서류의 제출 및 보관   관리자 18.11.20 32,458
1434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경로식당: 물품구매) 입찰 방법 검토   관리자 18.02.27 30,302
14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검토   관리자 18.02.05 29,493
1432 [복지소식] 월 207시간 근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시급   관리자 17.09.11 30,42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