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복지사 처우·보수 문제 개선 시급해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9-30 조회수 4782
"복지사 처우·보수 문제 개선 시급해요"
-"사회복지의 날" 맞는 부산사회복지사협회 오흥숙 회장

오는 7일은 "사회복지의 날"이다. 사회복지사업법에 규정된 법정기념일로 올해 8회째를 맞지만 일반에게는 여전히 낯선것이 현실이다. 신자유주의 바람을 타고 우리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복지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회복지 종사자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에게는 복지가 없다" "사회복지사야말로 복지 대상자"라는 말이 공공연할 정도여서 "사회복지의 날"에 대한 의미를 되돌아보게 한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권익증진을 주장하는 오흥숙 부산사회복지사협회 회장. 김병집기자 bjk@ 

"부산에서는 예전에 11월을 복지의 달로 기념해 오다가 8년 전부터 9월 7일을 "사회복지의 날"로 지정하고 그 달을 "사회복지의 달"로 기념해 왔습니다. 사회복지의 날과 사회복지의 달은 복지종사자와 시민들이 우리 사회의 복지를 함께 고민하고 인식을 공유하는 계기로 볼 수 있겠지요. 개인적으로는 늘 사회복지 현장에 파묻혀 일하니까 특별하게 다가오는 것은 없지만 시민들이 사회복지에 대해 다시 인식하고 의식이 확장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부산사회복지사협회 오흥숙(학장종합사회복지관장·53) 회장의 말이다. 부산에서는 3천800여명의 사회복지사가 활동하고 있다. 700여명이 공무원이라면 나머지 3천100여명은 민간복지 영역에서 일하고 있다. 사회복지사협회는 그들을 한데 묶는 고리 역할을 한다.

""사회복지사가 복지 대상자"라는 말은 정말 너무 아픈 얘기입니다. 처우와 보수가 문제인데, 공공영역 700여명은 공무원 월급을 받지만 민간영역의 3천100여 복지사들의 보수는 공공영역의 60~70%에 불과하지요. 편차가 너무 큽니다. 근무환경도 어려움이 많습니다. 어려운 이웃들에게 밀착되어 일하다 보니 근무 시간이 일반직보다 엄청 길고, 또 위험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알코올중독 정신분열증 등에 시달리는 클라이언트를 돌보다 보면 방화사건에 노출되는 등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하지요."

사회복지사들의 처우는 어떤 지점에서 개선의 여지를 찾을 수 있을까. "사회복지가 그렇듯 복지종사자들에 대한 복지도 국가의 몫입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 역사를 광복 이후로부터 60년쯤으로 본다면 국가로 사회복지 책임이 넘어가기 시작한 것은 고작 20년에 불과합니다. 아직도 민간영역에서 공공영역으로 사회복지가 이동하고 있는 중인데, 무엇보다 사회복지는 국가 책임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들의 업무 부하도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 오 회장의 진단이다. 신자유주의가 우리 사회에 회오리를 일으키면서 사회양극화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사들이 돌봐야 할 클라이언트들이 그만큼 늘고 있는 셈이다. "소득이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수급권자 바로 위 단계인 차상위계층이 많아지고 있지요. 게다가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문제도 심각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시설에서는 대부분 수용 한도를 넘기기 일쑤고 재가복지를 담당하는 복지관도 대상자가 늘면서 외부자원을 끌어다 사용해야 할 형편입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복지현실은 많은 숙제를 안고 있다. OECD에 가입한 데다 경제규모 세계 11위를 자랑하는 한국이지만 사회복지는 선진국과 한참 동떨어져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상실한 것이다. 최소한의 분배에 그치고 있는 복지 분야에 과감하게 날개를 달아줄 때 우리 사회의 균형있는 날갯짓이 가능하다는 것이 오 회장을 비롯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이다.

"그동안 사회복지사들이 사회적 약자들을 앞장서 대변해 왔지만 스스로를 대변하는 데는 인색했지요. 앞으로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강화와 권익 증진에 힘을 쏟으려 합니다. 고용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사회복지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우리 사회에 널리 알려 나가고자 합니다."

부산일보 임성원기자 forest@busanilbo.com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치매노인에 대한 대책 시급, '07년 40만명 추정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031 출산ㆍ육아로 퇴직한 여성 임시직으로 복귀   관리자 07.10.08 5,890
1030 소아비만에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   관리자 07.10.04 4,885
1029 노인 이혼.재혼 급증..5명중 1명 연금받아   관리자 07.10.03 5,452
1028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7년 기획사업아이디어 공모   관리자 07.10.02 5,291
1027 2008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개요   관리자 07.10.01 4,612
1026 "복지인력 근로조건 개선' 가장 중요   관리자 07.09.30 4,959
1025 복지사 처우·보수 문제 개선 시급해요   관리자 07.09.30 4,782
1024 치매노인에 대한 대책 시급, '07년 40만명 추정   관리자 07.09.30 4,800
1023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관리자 07.09.30 5,119
1022 기초생활보장 부정 수급자 원천 차단한다   관리자 07.09.30 5,748
<<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