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노인일거리창출, 주변환경의 협력으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6-21 조회수 3765
노인일거리창출, 주변환경의 협력으로

개인-기업-정부 및 지자체-민간기관 협력
노인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필요

노인일거리창출을 위해서는 취업을 하려는 노인 및 노인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서울여성플라자에서 노인인력운영센터 주최로 있었던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 포럼(이하 포럼)' 발제자들의 공동된 의견이다.

포럼은 노인적합직종 및 수요처 발굴,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준비됐다. 포럼에서는 연세대 김동배 교수의 '고령자취업 적합직종 발굴 및 수요처 개발방안'과 한남대 임춘식 교수의 '노인취업정책의 현황과 과제' 등 두 가지 주제가 발표됐다.

이 두 교수는 노인취업의 문제가 일거리를 원하는 노인은 많으나 노인들이 일할 기회와 장소 마련이 안되고 있는 현실임을 강조하며 사회적 환경의 협력을 제시했다.

임춘식 교수는 "퇴직시점과 국민연금 수급연령, 기대 수명간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나 노인에 대한 일거리 창출이 시급히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빈곤노인이 양산되고 있다"며 "노인에 대한 일자리 창출은 눈높이를 낮추려는 개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려는 민간기업,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이 맞물려야만 성과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맥을 같이해 김동배 교수 역시 "노인일자리는 재정확보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노인일자리 창출이 지역사회발전의 원동력임을 인식하는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노인의 일자리는 민간 비영리기관 및 지역사회가 스스로의 욕구를 인식하고 이의 충족을 위한 공동노력의 일환으로 창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두 교수는 노인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에도 의견을 모았다. 김 교수와 이 교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노인일자리와 프로그램은 연계, 노인일자리 프로그램과 개발과 교육훈련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교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 현재의 노인인력운영센터를 노인인력개발공단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공단에서는 노인능력개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정부부처 및 민간단체의 업무 통합. 조정 등의 역할을 하는 기구라고 정의했다.

이외에 김 교수는 노인일자리 창출 사업은 △민간 비영리기관 및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 △고령자 적합직종 및 노인일자리 사업의 구분- 적합직종이 어느 정도 노인일자리에 포함될 수 있는지 냉철한 비판 필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노인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으로 △고령자 적합직종 개발의 개선 △고령자 재고용 임금 가이드라인 개발 △고령자 취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노인 고용촉진 장려금 제도 적극 활용을 위한 홍보 △고령자 취업과 노인취업에 관한 법규정 조정과 통합 등을 제시했다.

통계청에서 최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연보'를 보면 우리나라의 노인취업인구는 지난해 현재 348만1천명으로 취업률은 15.7%를 기록하고 있다. 취업인구(1990년 245만56천명→2003년 348만1천명) 및 취업률(1990년 13.6%→2003년 15.7%)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노인취업희망비율 78.8%에 비하면 낮은 수치다.

남궁선 - jinsun@openwel.com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2004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공모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31 급식지원 받는 학생들 방학땐 어쩌나-동아일보   관리자 04.07.07 4,553
330 대중매체, 고령화 사회 대비 미약   관리자 04.07.07 5,089
329 2004 다음세상 희망 커뮤니케이션 사업공모   관리자 04.06.23 3,981
328 청소년에게 종교의 자유를 허하라! -한겨례   관리자 04.06.21 4,648
327 지역아동센터 운영 및 설립에 관한 설명회   관리자 04.06.21 4,408
326 노인일거리창출, 주변환경의 협력으로   관리자 04.06.21 3,765
325 2004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공모   관리자 04.06.14 4,716
324 불교계 복지관, 아직 2% 부족하다-불교신문   관리자 04.06.14 4,429
323 노인 요양 복지서비스 시급-여성신문   관리자 04.06.14 3,896
322 노인취업 활성화 방안 마련 포럼 개최   관리자 04.06.14 4,351
<<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