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새터민, 자기 진정능력 장애 많아<전문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1-19 조회수 6467
새터민, 자기 진정능력 장애 많아<전문가>


남한에 정착한 새터민들은 ""내 성격이 예전과 달라졌다"는 식의 성격 변화나 정서조절 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고 진정시키는 자기 진정능력의 장애를 의미한다"고 북한인권정보센터 상담팀의 김은경 연구원이 16일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이날 북한인권정보센터가 주최한 "새터민 정착지원을 위한 건강한 조력자 되기" 제하 워크숍에서 "새터민들은 정서적 어려움의 근원이 신체적 원인 또는 신체적 외상의 결과 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것에 기인한다고 해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등 정신과적 문제가 있을 때 "속이 내려가지 않는다", "골이 아프다"는 식으로 신체증상을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그는 "새터민 심리적 증상의 특수성 이해와 개입방안" 제하 주제발표에서 이 같은 증상이 "감정과 통제가 일반화된 북한사회의 문화 뿐만 아니라 유물론적 사고의 영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새터민들에게 심리적 외상을 주는 요인으로 북한에 살던 당시 교화소나 수용소에 강제수감됐던 경험, 가족과 사별, 탈북 및 제3국 체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각.체포에 대한 두려움, 체포 및 강제송환, 집단수용소 생활의 어려움 등을 꼽았다.

이런 요인으로 인해 "비탄, 슬픔, 분노, 파괴충동, 공포, 생존에 대한 죄책감, 무력감 등의 심리적 외상이 초래된다"고 김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새터민이 희생자로서 자신의 역경을 지나치게 내세우며 국가의존적인 태도를 심하게 보이거나 자신의 불리한 위치를 더욱 과장.왜곡한다고 판단된다면 이를 직면하게 해 삶에서 주어지는 기회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다"고 강조했다.

이 센터의 한유미 연구원은 "새터민 담당자의 업무소진 실태" 제하의 주제발표에서 "새터민과 접촉하는 시기가 장기화될수록 새터민에 대해 새터민 담당자들이 갖는 부정적 이미지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터민 담당자의 소진(消盡) 평균지수는 2.85로, 사회복지관(2.31), 정신보건영역(2.14)보다 높다"면서 "새터민과 함께 생활하거나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담당자들에 대해서는 사전 업무교육을 강화하고 교육 및 심신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기사입력 2007-11-16 15:57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사회복지 '표심잡기' 본격화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061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평가대회   관리자 07.11.22 6,055
1060 새터민, 자기 진정능력 장애 많아&lt;전문가&gt;   관리자 07.11.19 6,467
1059 사회복지 '표심잡기' 본격화   관리자 07.11.19 6,734
1058 노인성질환 진료비 2020년 연 36조 넘어   관리자 07.11.19 6,783
1057 아동학대예방 `노란리본 달아요`   관리자 07.11.19 6,713
1056 6세 미만 영유아, 5차례 무료 건강검진   관리자 07.11.15 6,156
1055 희망통장-매월 20만원 적립하면 3년뒤 2천만원   관리자 07.11.09 6,272
1054 보육시설 38.7% 규정 위반   관리자 07.11.09 6,829
1053 [공모] 부산공동모금회 사회복지시설 차량지원사업   관리자 07.11.09 6,722
1052 장기요양법 인력전환 배치계획 철회" 촉구   관리자 07.11.03 5,940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