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일해도 가난' 근로빈곤층 급증-조선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3-04 조회수 4025
'일해도 가난' 근로빈곤층 급증
비정규직 확대로 4년새 2배이상 늘어

8년 전 남편과 사별(死別)한 고모(여·50)씨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급식 조리원'으로 일한다. 월급은 60만원.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이 돈으로 생활을 꾸려나가고 있다.
고씨는 "8년 전 조리원 생활을 시작한 뒤 주부습진에 걸려 지문이 다 없어졌다"고 말했다. 지문이 없어질 정도로 일하는 데도 고씨는 소득이 최저 생계비의 1.2배에 못미치는 준극빈층(차상위계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과거엔 일자리만 구하면 그래도 그럭저럭 먹고 살 수 있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이 급증하면서 일을 해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이 급증하고 있다.

본지가 입수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탈(脫)빈곤 정책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0년 기준으로 100가구 중 7.1가구가 본인 또는 가족이 일자리를 가진 근로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6년엔 일자리 있는 근로 빈곤층이 100가구 당 2.9가구였으며, 근로빈곤층 비중이 4년 사이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보건사회연구원 박능후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빈곤층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일을 해도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비율도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저소득 계층을 좌절시키고 희망을 잃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의 급속한 확대가 근로빈곤층 양산의 원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일을 해도 급여가 낮고,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이 많기 때문에 가난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한다는 뜻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02년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월급여는 96만원에 불과하다. 특히 비정규직 가운데 18.8%는 월급이 50만원 이하여서, 최저생계비(4인가족 기준 110만원 내외)에 턱없이 모자라는 상황이다.


(박종세기자 jspark@chosun.com ) (김남인기자artemis@chosun.com ) 입력 : 2004.03.01 18:13 04"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통계청 2003 사회통계-중간계층 줄고 빈부격차 늘었다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61 복지부, 신체 장애 노인 20만여명 방치 논란   관리자 04.03.11 4,574
260 위기가정 긴급지원 사업 공고-LG복지재단   관리자 04.03.11 4,001
259 장애인작업장 3중고…"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어"   관리자 04.03.11 4,068
258 보육업무 여성부로 이관-주간사회복지   관리자 04.03.11 4,610
257 치매노인 위치 알려주는 카드 보급-연합뉴스   관리자 04.03.04 4,045
256 저소득층에 문화 혜택을-문화복지법인 열린문화 출범   관리자 04.03.04 5,122
255 저소득 장애인 모두에 장애수당 지급-조선일보   관리자 04.03.04 4,204
254 셋째이후 자녀 보육료 이달부터 전액지원 -국민일보   관리자 04.03.04 4,189
253 '일해도 가난' 근로빈곤층 급증-조선일보   관리자 04.03.04 4,025
252 통계청 2003 사회통계-중간계층 줄고 빈부격차 늘었다   관리자 04.02.21 4,229
<<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