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일자리 제공이 최고의 노인 복지-부산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1-17 조회수 4777
일자리 제공이 최고의 노인 복지

정부가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고령자고용촉진법에 규정된 정년을 연장하겠다고 밝힌 것은 적절한 조치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이 76.5세로,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이 7%를 넘어선 고령화사회에 이미 들어섰으며,14% 이상인 고령사회에 2019년,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2026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청장년층은 줄어드는 반면,일하지 않는 고령인구가 크게 늘어나 자녀의 부양이나 사회보장에만 의지한다면 가정은 말할 것도 없고 국가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사회는 활력을 잃게 되고 성장의 동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고령화사회에서는 병든 노인을 돌보거나 생계비를 보조하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활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 적극적 복지정책이다. 미국은 1986년 정년제도를 아예 없앴으며 일본도 60세이던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정년을 65세 정도로 늘리면서 기업의 고령자 의무고용률을 현행 3%에서 6%까지 높이겠다는 재경부의 방안은 구상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현되어야 한다.

청년실업도 심각한데 노인 일자리가 있겠느냐는 지적도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갈수록 낮아지는 출산율을 감안하면 고령자가 일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노년층의 고용확대가 젊은층의 고용증대와 연계되므로 한국도 고령자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권고하지 않았던가.

법적 정년 연장은 선언적 의미에 불과하므로 기업에 강제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다. 따라서 고령자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면밀한 대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기업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임금피크제 등 다양한 고용모델을 개발하고 보조금 지급 등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 노인의 경륜을 활용할 수 있고,고령자에게 적합한 직종 개발도 필수적이다. 실천 가능한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노인들을 실망시키지 않게 된다.

<부산일보>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기초수급 부양자 1촌이내로 축소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21 저소득층 빈곤탈출책 마련-복지부, 종합자활지원계획   관리자 04.01.13 5,160
220 2004년 재가노인복지사업 예산관련 공지   관리자 04.01.12 4,740
219 부산시-청소년증 발급 받으세요   관리자 04.01.12 4,970
218 "퍼주기식" 기초생활보장制 대수술…일 안하면 보조금   관리자 04.01.07 5,007
217 절대빈곤 160만 가구 환란 이후 倍로 증가-국민일보   관리자 04.01.07 4,361
216 우리경제 어디로( 청년 실업)   관리자 04.01.05 4,819
215 "장애인차별, 학력차별이 가장 심각"   관리자 04.01.05 4,891
214 빈곤층 IMF후 2배 늘어… 공동체 안정에 적신호   관리자 04.01.05 5,083
213 한국 작년 2쌍 결혼 1쌍 이혼 "세계 최고수준"   관리자 04.01.01 5,321
212 여수시노인요양원 건립 주민반발로 무산위기   관리자 04.01.01 5,242
<<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