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 4% 인상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2-14 조회수 4186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 4% 인상

6단계 직급체계→5단계 직책체계로 전환
처우위, 3년차 복지사 "선임"으로 자동 승급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보수지급 기준안이 마련됐다.
최근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산하 처우개선위원회(위원장 정덕주)는 공청회를 열고, 2005년도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을 평균 4%내외 인상하는 안을 내놓았다. 처우위가 마련한 기준안을 살펴보면 직무의 전문성 및 성격에 따라 사회복지직, 서무기능직, 의료기능직, 관리기능직, 기타 직종으로 구분하는 "직종"항목을 신규로 마련했다. 또한 기존 5급부터 관장에 이르는 6단계의 "직급"체계에서 사회복지사, 선임사회복지사, 과장, 부장, 관장 등의 5단계 "직책"체제로 전환하고 승진 최소 소요연한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만3년차가 되는 종사자는 선임복지사로 자동승급된다.

그러나 과장급(만5년차)과 부장급(만7년차)은 기관장의 인사권에 따라 승진여부가 결정되며, 승진되지 못하더라도 호봉은 인상·지급된다. 처우위는 또 급량비를 전년 5만원에서 100%인상해 월 10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처우위는 또한 직급별 승진 최소 소요연한이 미달되는 경우에도 기관장의 인사권에 의해 승진은 가능하나 봉급은 소요연한이 충족될 때까지 해당 소요연한이 속한 직책 및 직급의 봉급을 지급 받도록 했다. 이와 함께 조정안 적용시 급여가 하락하는 종사자를 고려, 경과조치를 두어 연봉 총액이 상한선이 될때까지 보조금으로 별도의 조정수당을 지급해 임금을 보전키로 했다.

처우위는 "다른 유형의 복지관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노인복지관 급여표를 기본급 적용 방안으로 마련했다"며 "특히 그동안 자연승급에 따른 부담과 이에 대한 서울시의 반감, 매년 오르지 않는 예산 등을 최대한 고려하고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종사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방안을 제시하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한편, 사회복지계 내부 관계자들은 "기준안을 따르지 않는 기관들을 강제할 수 없는 한 기준안은 권고에 불과하다"며 "기준안이 강제성을 띨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 복지뉴스 (2005.1.18) / 이경하 기자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특수교육기관도 종일반·방과후 학교 운영(연합뉴스)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401 노인복지정책 '실종' 성토 국회앞서 집회(불교신문)   관리자 04.11.22 4,217
400 내년 사회적일자리 4만1천명 취업 지원(연합뉴스)   관리자 04.11.22 4,346
399 NGO, 고용창출 예산 1兆 운용(서울신문)   관리자 04.11.17 3,819
398 만 5세 자녀 보육료 지원 확대(중앙일보)   관리자 04.11.17 4,330
397 근로빈곤층 대책…의료·교육·주거지원 초점(국민일보)   관리자 04.11.17 4,161
396 2004년 사회복지증진프로그램 공모사업 신청 공고   관리자 04.11.17 3,824
395 [예산처] 정책ㆍ성과 중심의 프로그램 예산체계 도입   관리자 04.11.10 4,164
394 고령화 시대의 생존전략 (조선일보)   관리자 04.11.10 4,205
393 '학교 밖 청소년'수기 수상자들의 고백   관리자 04.11.09 4,713
392 복지부 `출산 크레디트제` 도입 검토(연합)   관리자 04.11.06 4,335
<<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