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 4% 인상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2-14 조회수 4185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 4% 인상

6단계 직급체계→5단계 직책체계로 전환
처우위, 3년차 복지사 "선임"으로 자동 승급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자보수지급 기준안이 마련됐다.
최근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산하 처우개선위원회(위원장 정덕주)는 공청회를 열고, 2005년도 사회복지관 종사자 기본급을 평균 4%내외 인상하는 안을 내놓았다. 처우위가 마련한 기준안을 살펴보면 직무의 전문성 및 성격에 따라 사회복지직, 서무기능직, 의료기능직, 관리기능직, 기타 직종으로 구분하는 "직종"항목을 신규로 마련했다. 또한 기존 5급부터 관장에 이르는 6단계의 "직급"체계에서 사회복지사, 선임사회복지사, 과장, 부장, 관장 등의 5단계 "직책"체제로 전환하고 승진 최소 소요연한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만3년차가 되는 종사자는 선임복지사로 자동승급된다.

그러나 과장급(만5년차)과 부장급(만7년차)은 기관장의 인사권에 따라 승진여부가 결정되며, 승진되지 못하더라도 호봉은 인상·지급된다. 처우위는 또 급량비를 전년 5만원에서 100%인상해 월 10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처우위는 또한 직급별 승진 최소 소요연한이 미달되는 경우에도 기관장의 인사권에 의해 승진은 가능하나 봉급은 소요연한이 충족될 때까지 해당 소요연한이 속한 직책 및 직급의 봉급을 지급 받도록 했다. 이와 함께 조정안 적용시 급여가 하락하는 종사자를 고려, 경과조치를 두어 연봉 총액이 상한선이 될때까지 보조금으로 별도의 조정수당을 지급해 임금을 보전키로 했다.

처우위는 "다른 유형의 복지관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노인복지관 급여표를 기본급 적용 방안으로 마련했다"며 "특히 그동안 자연승급에 따른 부담과 이에 대한 서울시의 반감, 매년 오르지 않는 예산 등을 최대한 고려하고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종사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방안을 제시하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한편, 사회복지계 내부 관계자들은 "기준안을 따르지 않는 기관들을 강제할 수 없는 한 기준안은 권고에 불과하다"며 "기준안이 강제성을 띨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 복지뉴스 (2005.1.18) / 이경하 기자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특수교육기관도 종일반·방과후 학교 운영(연합뉴스)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41 소년범 10명중 3.5명 재범(서울신문)   관리자 04.07.30 5,759
340 한국타이어복지재단 "동그라미 빨래방"지원사업   관리자 04.07.27 5,057
339 문화격차 해소 지원사업 공모-다음세대재단   관리자 04.07.15 4,841
338 재가노인시설 평가기관 공모-오는 24일까지(오픈웰)   관리자 04.07.13 5,653
337 아동·청소년·가족 업무 여성부 이관 예정(오픈웰)   관리자 04.07.13 5,600
336 [나눔의 현장속으로]가정봉사원의 하루(부산일보)   관리자 04.07.13 4,783
335 자원봉사자 정부 보호 받는다(연합뉴스)   관리자 04.07.13 4,838
334 한국 세금 OECD 평균보다 15.3% 많아<租稅硏>   관리자 04.07.07 5,393
333 산재보험 이렇게 바뀐다-문화일보   관리자 04.07.07 4,718
332 빈곤아동-청소년…자녀양육비 합의해야 이혼허용   관리자 04.07.07 5,298
<<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