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노인학대 신고의 접수 및 상담방법 등 운영기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9-13 조회수 3913
보건복지부 고시 제2004- 호

노인복지법시행령 제20조의2제2항의 규정에 의한 「노인학대신고의접수및상담방법등운영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정 고시합니다.


2004년 9월 일
보 건 복 지 부 장 관



노인학대신고의접수및상담방법등운영기준 제정(안)


1. 목적
노인학대를 예방하고 수시로 신고를 받을 수 있도록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전국적으로 통일된 번호로 24시간 동안 운영되는 긴급전화 및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치․운영토록함에 따라 노인학대 신고의 접수 및 상담방법과 그 밖의 세부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긴급전화 운영
가. 노인학대 신고용 긴급전화는 1389번으로 한다.
◦긴급전화 사용요령
- 전국 어디서나 지역번호 없이 1389번만을 눌러 사용한다. 다만, 이동전화(핸드폰)로 신고하는 경우에는 지역번호+1389번을 눌러 사용한다.
나. 긴급전화는 연중 24시간 운영한다.
3. 노인학대 신고 접수
◦노인학대의심사례를 신고접수 받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파악하여야 한다.
- 신고자의 인적사항
- 신고자에 대한 비밀보장여부 파악
- 신고 목적 파악 : 노인 보호에 대한 욕구, 정보파악 혹은 상담을 위한 욕구, 노인학대 판정을 위해 현장조사 실시에 대한 욕구 등
-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의 인적사항 파악
- 학대의 정확한 내용 파악 : 학대의 정도와 심각성, 발생빈도, 지속성, 방법, 학대유형 등
- 피해노인의 현재 상황 파악 : 노인의 위기상황 평가, 긴급분리보호 여부, 현재 보호되고 있는 곳, 노인의 심신상태, 가정환경 등
◦노인학대의심사례를 신고접수 받은 경우에는 신고접수 사항을 노인학대 신고접수서에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4. 노인학대 상담 등
가. 노인학대 상담은 자격을 갖춘 상담원이 실시하여야 한다.
◦상담원은 신고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상담에 응할 수 있도록 최대한 친절하게 응대하여야 한다.
나. 노인학대 사례로서의 적합성 판단
◦판단은 사례의 학대 여부와 심각성 등을 고려하여 일회성 노인상담으로 종결하여야 할 것인지, 노인학대사례로 접수하여 현장조사 및 지속적 상담을 할 것인지 판단하여야 한다.
다. 사례의 응급성 여부 판단
◦응급한 사례로 판단되는 경우 12시간 내에 현장조사를 실시하되 가능한 경찰관과 동행하도록 협조토록 하고, 단순노인학대사례는 48시간 내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응급한 사례로 판단되나 신고접수한 노인학대예방센터에서 12시간 내에 현장조사가 어려운 경우 관할 경찰서의 경찰관, 시․군․구위기가정SOS상담소 상담원 및 읍․면․동사무소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게 협조하여 사례의 응급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우선 지원 요청하여야 한다.
라. 현장조사 실시
◦상담원이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노인학대행위조사원증을 제시한 후 현장조사에 임하여야 한다.
◦현장조사에서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노인학대 사례로서의 적합성 판정, 노인의 안전 및 응급성 여부 확인
- 피해자 노인에 대한 신변보장과 안전조치
- 충분한 자료 및 정보 수집 등

5. 상담원의 근무
◦24시간 신고접수, 상담 및 현장조사가 가능하도록 근무자를 배치하여야한다. 다만, 기관 실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가 가능한 경우 일과시간(평일 09:00~18:00, 토요일 09:00~13:00) 이외의 시간에는 재택근무를 할 수 있다.
- 재택근무자가 신고전화의 접수 및 상담이 가능하고, 응급사례 발생시 즉시 현장조사가 가능한 경우
․ 근무자용 이동전화의 확보와 착신통화전환조치 등 통신연락체계의 강구
- 재택근무시에는 일과시간 종료시부터 일정시간(21시까지) 사무실에서 대기근무
- 재택근무자는 사적 용무로 주거지를 이탈하여서는 아니됨

6. 기타
◦보건복지부장관은 필요한 경우 노인학대 사례관리에 관한 세부사항을 노인학대예방센터업무수행지침으로 따로 정할 수 있다.

부 칙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노인학대 예방센터 10월중 부산서 문연다(부산일보)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81 독거노인 생활필수품 지원사업 신청안내   관리자 04.10.20 3,983
380 '노인요양보장제도' 불교계 대처방안(불교신문)   관리자 04.10.20 3,735
379 일반校 장애학생 특수학급 늘린다(조선일보)   관리자 04.10.10 4,513
378 보육의 질 높인다면서 교사지원 축소(한겨례)   관리자 04.10.10 4,242
377 "고령사회 대책" 부산시 나섰다 (부산일보)   관리자 04.10.08 4,389
376 "2004 빈곤가정 위기지원사업" 안내(부산공동모금회)   관리자 04.10.06 3,921
375 "저소득층 학습장비 지원사업" 신청 안내(복지관협회)   관리자 04.10.06 4,247
374 교육부 "대안학교 학력인정 추진" (연합뉴스)   관리자 04.10.06 4,257
373 치매노인 급증 35萬 요양시설 크게 부족…(국민일보)   관리자 04.10.06 4,313
372 70대 노인 국가보호 강화 검토(연합뉴스)   관리자 04.10.06 4,168
<<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