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청소년 자살환자 87% 정신과적 증상"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09-29 조회수 4958
(서울=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2003.9.28(일) 07:24

청소년 자살환자의 87%가 치료가 필요한 정신과 적 증상이나 문제가 있고, 특히 우울증이 전체의 66%로 가장 흔한 정신병리인 것으 로 나타났다.

연세대의대 정신과학교실 이홍식 주임교수는 29일 열리는 청소년보호위원회 주 관의 제1회 청소년 자살예방 세미나에 앞서 28일 미리 내놓은 `청소년 자살, 어떻게 예방할 것 인가"라는 주제발표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세브란스병원 응급실의 1998년과 2002년 자살환자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자 살환자의 약 87%는 치료가 필요한 정신과적 증상이나 문제가 있었고, 우울증이 전체 의 6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청소년 환자의 60%는 평소 충동조절에 어려움이 있었고, 약 25%는 전에도 자살을 시도했던 경험이 있었다"면서 "우울증, 충동조절의 어려움과 자살시 도의 경험은 자살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고 보고했다.

이 교수는 "따라서 응급실을 내원한 청소년 상당수는 다시 자살시도에 나설 위 험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지만, 실제 정신과적 평가와 치료에 동의한 청소년은 22% 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들 대부분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있어 앞으로 다시 자살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자살 청소년이 정신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책 마련이 시 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는 청소년이나 부모가 정신과 치료에 대한 주위의 편견을 우려해 치료를 꺼리고 자살시도나 정신병리의 위험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청 소년 자살 예방을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자살은 개개인 성격과 유전적, 심리적 특성, 환경, 정신병리 등 여 러 요인이 복잡하게 작용해 나타난다"며 "특히 청소년의 경우 정체성 혼란, 성적 욕 구, 충동조절 등 발달적 특징 때문에 자살은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청소년 자살 예방 대책과 관련, "의료계를 포함한 정부, 시민단체, 언론 및 환자 개인에 이르기까지 각 사회 영역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협력과 공동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체계화시킬 국가적인 자살 예방 정책의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작년 하루평균 130쌍 이혼 소송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41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관리자 20.05.06 28,357
1440 현물후원시 후원가액 산정을 위한 검토   관리자 20.04.03 29,839
1439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관리자 19.05.23 26,372
1438 연말정산은 언제까지 지급해야하는 것일까?   관리자 19.04.10 41,442
1437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후원금 관리   관리자 19.01.28 28,861
1436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관리자 19.01.17 27,917
1435 건강진단(건강검진) 후 서류의 제출 및 보관   관리자 18.11.20 32,458
1434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경로식당: 물품구매) 입찰 방법 검토   관리자 18.02.27 30,304
14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검토   관리자 18.02.05 29,494
1432 [복지소식] 월 207시간 근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시급   관리자 17.09.11 30,42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