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종교계 '대안교육' 어디까지 왔나?(현대불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2-16 조회수 3896
종교계 '대안교육' 어디까지 왔나?

교육부 "대안학교는 공교육의 파트너"


지난 해 12월 24일 안병영 교육부장관은 "대안학교를 공교육의 파트너로 인정하고 함께 가겠다"고 선언하며 "'대안교육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새로운 교육방식에 대한 체계와 철학, 정책 등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시도되는 있는 대안교육의 활성화 의지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불교계에서 전인교육이라 할 만한 교육방식을 실천하고 있는 곳은 대안학교인 실상사 작은학교 단 한곳.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불교계는 훌륭한 '대안적 사상체계'를 갖고 있지만, 아직 '꿰지 않은 구슬 서 말'에 지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미 개신교와 가톨릭, 원불교 등에서는 이 같은 교육방식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개신교의 경우 지난해 '크리스찬 홈스쿨링 협회'를 창립했고, 정부의 인가를 받은 대안학교만도 7곳을 운영하는 등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자체적인 교육과정을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원불교의 경우 6곳(정부인가)의 대안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은 2006년 개교를 목표로 탈북자를 위한 대안학교도 추진하고 있다. 이미 건설부지 매입도 마친 상태다. 원불교 중앙총부 이성일 교무는 "대안학교 설립의 목적은 포교나 교화 목적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이 되도록 돕는 데 있다"며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것이 종교의 대(對)사회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실상사 작은학교 이경재 대표교사는 "불교적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방식을 모색하는 것은 지역사회를 살리고, 공교육의 모자란 부분도 채움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다 하면서도 불교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다"며 "불교계는 사찰이라는 친자연적 환경과 교리의 사상적 배경을 갖추고 있어 여건은 충분히 마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불교신문 - 박익순·여수령 기자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저출산의 재앙, 가족ㆍ여성정책 바꿔야 출산는다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41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관리자 20.05.06 28,357
1440 현물후원시 후원가액 산정을 위한 검토   관리자 20.04.03 29,838
1439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관리자 19.05.23 26,370
1438 연말정산은 언제까지 지급해야하는 것일까?   관리자 19.04.10 41,440
1437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후원금 관리   관리자 19.01.28 28,860
1436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관리자 19.01.17 27,916
1435 건강진단(건강검진) 후 서류의 제출 및 보관   관리자 18.11.20 32,458
1434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경로식당: 물품구매) 입찰 방법 검토   관리자 18.02.27 30,302
14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검토   관리자 18.02.05 29,493
1432 [복지소식] 월 207시간 근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시급   관리자 17.09.11 30,42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