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도시 10가구중 1가구 `절대빈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0-14 조회수 4878
도시 10가구중 1가구 `절대빈곤` - 동아일보(2003-10-13)

한국의 도시가구 100가구 가운데 11가구 이상이 소득이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절대빈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전인 1996년 100가구 중 6가구였던 것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2일 내놓은 '소득분배 국제 비교를 통한 복지정책의 향상'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현재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가구가 전체의 11.46%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최저생계비는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른데 4인 가족의 경우 92만8398원이다. 1996년에는 절대빈곤층 비율이 5.91%였다.

절대빈곤 상태가 이처럼 악화된 것은 외환위기를 겪은 뒤 실업자가 급격히 늘어난 데다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노인 가구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최저생계비는 소비자 물가가 오르면서 해마다 올라가는데 소득은 줄거나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분석이다.

또 전체 평균 소득의 40% 아래를 의미하는 상대적 빈곤 가구 수도 2000년 현재 11.5%로 96년의 7.6%보다 급증했다. 절대빈곤층 비율은 영국 5.7%(1999년), 핀란드 2.1%(2000년) 등으로 유럽이 낮고 미국은 10.8%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유경준(兪京濬) KDI 연구위원은 "경제가 효율을 강조하는 경쟁체제로 나아갈수록 탈락하는 절대빈곤층이 늘게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앞으로 정부의 복지정책은 애매한 개념인 '중산서민층'이 아니라 '절대빈곤층'에 초점을 맞춰 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광현기자 kkh@donga.com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육아문제 해결은 국가경쟁력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201 삼성 2004 작은나눔 큰사랑 사업공고   관리자 03.12.10 5,182
200 세계일보-복지천국 스웨덴 "노동자 지옥"   관리자 03.12.06 5,327
199 세계일보"걸인 등 노숙자 전문 치료-요양시설 절실"   관리자 03.12.06 4,715
198 중앙일보-자원봉사자에 소득공제 혜택   관리자 03.12.06 4,781
197 동아일보-빈곤층 450만명 보조금 지급 차질   관리자 03.12.06 5,039
196 경로당지원 월 12만원으로 확대   관리자 03.11.28 5,149
195 2004년 제2회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일정   관리자 03.11.25 4,957
194 구직자 54%, "돈 들더라도 인턴할 의향 있다"   관리자 03.11.17 4,959
193 "바꿔라" "왜바꿔" 金복지 거취공방   관리자 03.11.17 4,831
192 성범죄자 신상공개 영화 인권위-청보委 "갈등"   관리자 03.11.17 5,038
<<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