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청소년인터넷중독심각(중앙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8-03 조회수 4654
청소년 73.4% 인터넷으로 게임..수면부족.대인관계축소


청소년 10명중 2명 이상이 인터넷 중독 현상을 보이거나 중독이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돼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최근 만9세에서 39세까지의 전국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 2일 공개한 "2004년 인터넷이용 실태조사"에서 드러났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인터넷중독자(고위험사용자)는 인터넷 사용자의 3.3%이며 인터넷중독의 위험이 있는 사용자(잠재적 위험사용자)는 11.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9세에서 19세의 청소년들중 중독으로 분류되는 고위험사용자는 4.3%, 중독의 위험이 높은 위험사용자는 16%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중에도 만 16-19세 청소년층의 고위험 사용자는 7.1%로 최고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13-15세 청소년층은 만20-24세 청년층의 3.1%보다 약간 높은 3.6%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고위험사용자군은 광주.전라 지역이 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서울 4.1%, 부산.대구.울산.경상지역 3.8%, 강원.제주 2.7%, 대전.충청 2.6%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는 정보검색(62%), 게임(58%), 메일/카드보내기(39.6%) 순으로 나타났으나 청소년의 경우는 게임을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가 73.4%, 정보검색 16.1%, 메신저/채팅 15.6%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통부와 정보문화진흥원은 이에 따라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온라인 게임이 주요 원인이라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

조사결과 인터넷 중독자들은 일반 사용자들보다 수면부족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정서적.육체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험사용자들은 일반 사용자들보다 대인관계가 줄어들었다고 응답을 한 경우가 6배나 더 많아 사회생활에 인터넷 중독이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통부와 정보문화진흥원은 인터넷 중독 상담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등 청소년 인터넷 중독예방 및 상담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최저생계비로 한달, '아니올시다' (경향신문)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361 노인학대 예방센터 10월중 부산서 문연다(부산일보)   관리자 04.09.13 4,166
360 노인 10% "가족에 학대 당해"(국제신문)   관리자 04.09.13 3,991
359 "탈북청소년 도피·이산 경험" (문화일보)   관리자 04.09.11 3,891
358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법제화 시급 (오픈웰)   관리자 04.09.11 3,811
357 여성전화 상담 "가정폭력" 최다(부산일보)   관리자 04.09.06 4,368
356 학대 아동 30% 매일 당한다(국민일보)   관리자 04.09.06 4,203
355 경남지역 초고령화 `가속` 노인복지 `느림보` (복지넷)   관리자 04.08.27 4,033
354 청소년·가족정책 통합 급물살(여성신문)   관리자 04.08.27 3,718
353 제15회 전국사회복지관 직원교육 개최 안내   관리자 04.08.21 3,671
352 사회복지에는 사회복지사가 없다?(오마이뉴스)   관리자 04.08.20 4,410
<<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