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소득 50%로 줄듯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05-09 조회수 4506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고 은퇴 후 받을 연금이 가입기간 평균소득의 60%에서 내년부터 50%로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국민이 부담할 보험료는 소득의 9%에서 장기적으로 15.8%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재정경제부 당국자는 6일 "국민연금발전위원회에서 연금의 재정을 안정시키기 위해 소득대체율(연금 가입기간의 평균소득 대비 받을 연금액 비율)을 60%에서 50%로 내리고 보험료는 9%에서 15.85%로 올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발전위원회는 이달 말 △소득대체율 60% 유지, 보험료율 19.85%로 인상 △소득대체율 50%로 인하, 보험료율 15.85%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인하, 보험료율 11.85%로 인상 등 3가지 방안 중 하나를 선택해 보건복지부에 보고할 예정이다.

또 복지부 장관은 이를 바탕으로 9월경 국회에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제출할 방침이다.

재경부 당국자는 "대부분의 연금발전위원들이 소득대체율 50%, 보험료율 15.85%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방안은 보험료는 더 많이 내고 연금은 적게 받도록 하는 것이어서 앞으로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정부는 반발을 줄이기 위해 소득대체율은 내년부터 50%로 줄이고 보험료율은 2009년까지 현행 9%를 적용한 뒤 2010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의 평균 보험료율(임금 대비 보험료)이 17.5%선인 반면 한국은 너무 낮다는 입장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현 제도를 유지할 때 2044년 국민연금이 고갈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복지부 당국자는 "재정안정 방안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연금제도가 바뀌더라도 기존 연금수령자가 불이익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내년부터 모든 가입자가 평균 소득의 50%를 연금으로 받는 것이 아니다"며 "가입기간 중 적용된 소득대체율의 비율에 따라 연금액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령 소득대체율이 60%와 50%일 때 각각 10년 동안 보험료를 냈다면 은퇴 후 55%선의 소득대체율을 적용한다는 설명이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98년 70%에서 60%로 낮아졌고 5년마다 연금재정을 계산하도록 한 국민연금법에 따라 올해 연금제도를 다시 손질한다.

이은우기자 libra@donga.com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노후생활자금 2억6천만~7억1천만원 필요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71 전국 사회복지노동조합 저임금등 처우개선 촉구   관리자 03.06.02 4,027
70 사회복지정책 관련 보건복지부장관에 건의   관리자 03.06.02 4,377
69 보건복지-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시범 적용 시설모집   관리자 03.05.29 4,199
68 "치매노인 57% 자녀들이 부양"   관리자 03.05.28 4,335
67 길음복지관 소년소녀가장 50명에 美여행 선물   관리자 03.05.28 4,396
66 老人들에 일자리 마련해줘야   관리자 03.05.19 4,236
65 보육업무 여성부 이관 반대를 위한 전국 보육인결의대회   관리자 03.05.16 4,575
64 복지부,『참여복지 홍보사업단』 발족   관리자 03.05.16 4,196
63 특별기획-불교복지 현황과 전망, 과제   관리자 03.05.14 4,651
62 국민연금 수령액 소득 50%로 줄듯   관리자 03.05.09 4,506
<<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