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새터민 청소년` 지원 협의체 출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0-09 조회수 7172
`새터민 청소년` 지원 협의체 출범
(연합뉴스 발행일 2007-10-09)


인천지역 새터민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새터민청소년 종합지원 협의체"가 구성돼 9일 출범했다.

(재)무지개청소년센터(이하 "무지개센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4층 세미나실에서 지역내 25개 청소년.복지기관과 교육기관,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가, 협의체를 구성하는 협약식을 체결했다.

전국에서 새터민청소년을 위한 협의체의 구성은 서울을 제외하면 인천이 처음이다.

무지개센터는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지난해 4월 새터민.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비영리 단체다.

협의체 참여 기관과 단체는 무지개센터를 비롯해 경인종합고용지원센터, 경인제과제빵학원, 대한적십자사 인천지사, 인천 YMCA, 인천YWCA 삼산종합사회복지관, 인천시 평생학습관, 인천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동부교육청, 인천시, 남동구, 만성.논현중학교, 봉수.장도초등학교 등 25개 학교.기관.단체 등이다.

협의체는 새터민청소년의 욕구와 실태조사, 방문상담, 새터민청소년 부모교육, 이들에 대한 편견 해소를 위한 순회 교육.캠페인 등을 하며 이들 개개인의 처지와 희망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찾아 하게 된다.

무지개센터는 이를 위해 성산효대학원대학교에 개설돼 있는 "인천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 전문 상담원 1명을 파견, 배치하는 한편 인천 청소년상담센터도 새터민 청소년 상담원을 지정, 상담할 예정이다.

무지개센터가 인천에 새터민청소년 지원협의체를 둔 것은 이 지역에 925명의 새터민이 살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6∼24세 청소년이 142명으로 전국에서 서울과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데다 인원이 최근 6개월사이에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무지개센터 윤상석 사업1팀장은 "새터민 청소년들이 학교수업이 끝나면 어디를 가야할 지 모르고 각 기관과 학교는 이들이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협의체 참여 기관과 단체가 상담을 통해 새터민 청소년 각자에게 맞는 지원책을 유기적으로 마련, 추진하게 된다"고 말했다.

changsun@yna.co.kr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인천시, 노인복지시설 주변 "실버존" 지정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41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관리자 20.05.06 28,327
1440 현물후원시 후원가액 산정을 위한 검토   관리자 20.04.03 29,806
1439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관리자 19.05.23 26,338
1438 연말정산은 언제까지 지급해야하는 것일까?   관리자 19.04.10 41,409
1437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후원금 관리   관리자 19.01.28 28,830
1436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관리자 19.01.17 27,886
1435 건강진단(건강검진) 후 서류의 제출 및 보관   관리자 18.11.20 32,424
1434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경로식당: 물품구매) 입찰 방법 검토   관리자 18.02.27 30,267
14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검토   관리자 18.02.05 29,462
1432 [복지소식] 월 207시간 근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시급   관리자 17.09.11 30,39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