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복지시설·기관 "근무환경 열악하다" (부산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6-01-23 조회수 4154
지역사회 환경변화와 사회복지시설. 기관의 운영개선을 위한 "부산 사회복지시설. 기관운영실태조사 결과 보고회"가 19일 오후 부산일보사 소강당에서 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 주최로 열렸다.



복지시설·기관 "근무환경 열악하다"
(2006/01/23 027면)


관리·실무자 "저임금 과다 근무"
"부산시 복지 무관심"등 문제 노출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기관에서 30대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증대하고 역량도 전문화된 반면 이들의 처우나 근무환경은 여전히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복지사들은 현재의 조직관리 운영방식으로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은 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가 지난해 5월부터 4개월간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기관 243개소 1천294명(관리자 399명,실무자 895명)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관리자의 경우 30대가 125명으로 절반에 가까운 49.4%를 차지했고 20대와 30대 원장(관장)도 16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실무자의 경우 20대가 422명 60.5%,30대가 167명 24%로 20,30대의 누적비율이 85%였다. 특히 관리자는 대졸이상이 79.6%로 석사졸업 이상의 비율이 증가했고 87.4%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증이 없는 이들은 2003년 16.9%에서 11.4%로 감소했다.

또 실무자들의 총 근무 경력은 평균 3.86년으로 2003년의 3.57년에 비해 늘었고 4년 이상 6년 이하의 실무자 역시 2003년 116명에서 2005년 239명으로 크게 늘면서 직위도 대리,선임,팀장,주임 등으로 구분되는 등 다양한 전문직으로 확대 구성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실무자들의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생활시설의 경우 식사 시간을 제외하고도 48.74시간이나 됐고,31.9%는 초과근무에 대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리자들의 평균 연봉도 2천430만원(평균 근속연수 12.95년)으로 2003년 한국 100대 기업 임직원의 평균급여 4천600만원에 절반수준이었고 실무자의 연봉평균 역시 생활시설이 약 1천611만원,이용시설이 1천746만원으로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 실무자의 8.6%는 비정규직이었다.

또 관리자는 제도변화에 따른 정체성 혼돈(35.4%)을,실무자는 시설운영 및 직원관리(31.0%)를 5년 이내 조직이 맞게 될 위험요소로,시정 현안에 누락된 복지 관심 제고(31.5%)와 지역간 분야별 자원 배분 격차 완화(23.6%)를 부산 사회복지계의 당면 과제로 각각 꼽는 등 사회복지조직의 환경변화와 지방분권과 관련된 사회복지 격차 및 하향평준화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03년에 있었던 조사에 이은 2차 조사로 △지자체 역할강화 △세계화된 시장 △양극화의 심화 등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가 근무현장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또 지난 2년 동안 개선된 근무환경과 수정·보완된 제도적 장치 등이 무엇인지를 살펴서 사회복지시설 운영에 개선점을 찾기 위한 것.

복지협의회는 지난 19일 오후 2시 부산일보 10층 소강당에서 부산지역 사회복지 시설·기관 관리자와 실무자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보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총평을 맡은 진재문 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번 조사를 통해 이론적·관념적 차원에 머물고 있는 사회복지 조직에 대한 논의에 귀중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전제한 뒤 30대 사회복지사의 역할 증대에 대해 상당한 의미를 부여했다. "현 시기는 제3세대로 관리자 집단이 전환되는 과도기다. 20,30대 원장의 출현은 세대교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현 시기에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는 게 진 교수의 해석.

실무를 담당한 박무일 연구원은 "서비스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인적자본 투자와 종사자의 발전에 대한 지원과 비전제시가 중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또 토론자로 나선 임광수 낙동종합사회복지관 관장은 "사회복지사를 단순히 좋은 일 하는 사람이 아니라 전문가로 인식케 해야 복지사의 처우와 사회복지시설·기관들에 대한 지원이 확충된다"면서 "복지사 개개인 역시 전문적 역량을 개발하고 협력체계의 구성에 적극적 동참하는 한편 강력한 자정권을 행사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아영기자 yeong@busanilbo.com
download : 첨부파일다운복지.jpg
이전글 :   저소득지역 교육복지 투자 100곳으로 확대(한겨레)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731 신조.유행어로 본 상반기 취업시장   관리자 06.07.03 3,042
730 통계로 본 한국여성 삶   관리자 06.07.03 3,626
729 금년 7월부터 치매․중풍 노인가정에 방문수발 서비스   관리자 06.06.27 3,679
728 06년 7월부터 달라지는 제도(보건복지부)    관리자 06.06.27 3,364
727 OECD국가중 의료비는 가장 낮으나 건강은 평균 이상   관리자 06.06.27 3,596
726 저출산 고령화 사회협약 체결   관리자 06.06.21 3,251
725 찾아가는 복지' 뿌리내린다   관리자 06.06.21 3,137
724 [산자부]사회복지시설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실시   관리자 06.06.21 3,353
723 일본 '육아택시' 전국으로 확대   관리자 06.06.21 3,455
722 노인학대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가가 직접 챙겨!   관리자 06.06.21 3,623
<<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