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부산 복지전문가 `복지책임 지자체↑, 국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0-26 조회수 6968
부산 복지전문가 `복지책임 지자체↑, 국가↓`
(연합뉴스 발행일 2007-10-24)

부산 지역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복지 사업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하며 목적세 신설 등 국가 재정의 이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복지개발원이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원, 사회복지사 등 관련 전문가 76명을 상대로 사회복지와 관련된 부산의 미래상과 대응책에 관해 설문 조사해 2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자체가 사회복지를 제공하는 정당성이 약해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5.5%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전문가의 80.3%는 "국가 차원의 사회복지 해결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측했고 "가족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책임이 강화될 것이다"에도 40.8%만이 동의해 사회복지 영역에서 지자체의 역할에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 전원은 "지자체의 사회복지 재정 부담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사회복지 목적세를 신설하거나 종합부동산세 일부를 복지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주문했다.

또 이들 대다수(96%)는 "자치구.군 간 복지서비스 격차가 심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격차를 줄이기 위해 지방재정조정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의 미래상에 대해서는 "부산의 20∼30대 근로인구의 외지 유출 심화"(94.7%), "부산 인구 중 아동 비율이 전국 아동 비율에 비해 계속 낮아질 것"(94.7%), "단독가구가 늘어날 것"(96.1%), "세대 갈등 증가"(86.8%), "고령화 등으로 타지역에 비해 경제성장 둔화"(92.1%) 등 대부분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저출산.고령화 대책으로 ▲아동수당 책정 ▲외국인 이민자에 사회복지혜택 강화 ▲유치원부터 다문화 교육 실시 ▲친족 노인이 아이 보육을 맡고 현금을 지원받는 "노인 아동보호 크레디트제" 도입 ▲임금피크제 도입.정년 연장 ▲노인부양자 주택 우선공급 등을 꼽았다.

복지개발원은 조사 결과를 2011∼2015, 2016∼2020년 5개년 중장기 계획 수립에 활용할 방침이다.

helloplum@yna.co.kr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   내년 사회서비스 일자리 25만개 재정지원
다음글 :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리스트
게시물 수 : 1,44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41 추경 전 예산의 집행은 가능한가?   관리자 20.05.06 28,327
1440 현물후원시 후원가액 산정을 위한 검토   관리자 20.04.03 29,806
1439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관리자 19.05.23 26,338
1438 연말정산은 언제까지 지급해야하는 것일까?   관리자 19.04.10 41,409
1437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후원금 관리   관리자 19.01.28 28,830
1436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관리자 19.01.17 27,886
1435 건강진단(건강검진) 후 서류의 제출 및 보관   관리자 18.11.20 32,424
1434 사회복지시설 집단급식소(경로식당: 물품구매) 입찰 방법 검토   관리자 18.02.27 30,267
143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검토   관리자 18.02.05 29,462
1432 [복지소식] 월 207시간 근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시급   관리자 17.09.11 30,392
1 [2] [3] [4] [5] [6] [7] [8] [9] [10]    >